본문 바로가기
지원금

저축으로 200% 자산형성? 저소득층의 삶을 바꿔줄 '희망두배 청년통장’과 '꿈나래통장’

by 모두의블랑 2023. 5. 24.



희망두배 청년통장 사업은 저소득층의 자산형성과 미래계획을 지원하는 사업으로,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
이 글에서는 '희망두배 청년통장’과 '꿈나래통장’의 개요, 신청자격, 신청방법, 혜택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  • 희망두배 청년통장이란?
  •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자격 및 절차
  • 희망두배 청년통장의 다양한 혜택
  • 꿈나래통장이란?
  • 꿈나래통장 신청자격 및 절차
  • 꿈나래통장의 다양한 혜택

희망두배 청년통장이란?

'희망두배 청년통장’은 서울시가 일하는 청년의 씨앗자금 조성과 미래계획 설계를 돕기 위해 2015년부터 시작한 자산형성지원 사업입니다.
이 사업은 저소득층 목돈 지원 사업인 '서울희망플러스통장’사업을 모티브로 하여, 일하는 청년이 매월 일정액을 저축하면 서울시와 민간기부금으로 저축액의 100%를 추가로 적립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
즉, 2년 또는 3년간 꾸준히 저축하면 만기 시에는 본인 저축액의 2배 이상(이자 포함)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것입니다.

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자격 및 절차


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8~34세의 일하는 청년
본인 소득 월 255만 원 이하
부양의무자가 소득 연간 1억 원 미만이고 재산 9억 원 미만
올해부터는 가구 구성원 중 1인만 참여할 수 있었던 조건과 부채 5천만 원 이상인 경우 신청할 수 없었던 요건도 삭제되어, 보다 많은 청년들이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또한, 형제·자매 또는 배우자가 이미 '희망두배 청년통장’에 참여하고 있어도 다른 가구 구성원은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신청 방법


6월 12일부터 23일까지 주소지 동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가입신청서 및 구비서류를 제출
우편 및 이메일로도 신청 가능
신청서식은 서울시 및 서울시복지재단 홈페이지, 자치구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 및 다운로드 가능
신청 후에는 서류심사, 소득재산조사, 신용조회 등을 거쳐 최종 선발됩니다. 최종 선발자는 서울시와 약정 체결 후 2023년 11월부터 첫 저축을 시작합니다.

희망두배 청년통장의 다양한 혜택


저축관리: 매월 저축액을 확인하고 상담해주는 전문가와 함께 저축 목적과 계획을 관리합니다.
금융교육: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금융 지식과 역량을 향상시킵니다.
1:1 재무컨설팅: 개인별 맞춤형 재무상담 컨설팅을 통해 재무설계와 자산관리 방법을 배웁니다.
금융 피해 예방교육: 부동산(임대차)사기, 투자(주식, 가상화폐 등)사기, 보이스피싱 등 각종 금융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을 제공합니다.

꿈나래통장이란?

'꿈나래통장’은 만 14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저소득가구의 자녀 교육자금 마련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.
이 사업은 저소득가구가 자녀 교육비 형성을 목적으로 3년 또는 5년간 저축하면 서울시가 저축액의 50~100%를 적립해 만기 시에는 본인 저축액의 1.5~2배를 지원합니다.
이 사업도 '서울희망플러스통장’사업을 모티브로 하여 2009년 처음 시작되었습니다.

꿈나래통장 신청자격 및 절차


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4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
기준중위소득 80% 이하
단, 꿈나래통장은 자녀가 여러 명이어도 1명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신청 방법은 '희망두배 청년통장’과 동일합니다.

꿈나래통장의 다양한 혜택


저축관리: 매월 저축액을 확인하고 상담해주는 전문가와 함께 저축 목적과 계획을 관리합니다.
금융교육: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금융 지식과 역량을 향상시킵니다.
1:1 재무컨설팅: 개인별 맞춤형 재무상담 컨설팅을 통해 재무설계와 자산관리 방법을 배웁니다.
교육비 지원: 만기 시에는 본인 저축액의 1.5~2배를 지원받아 자녀의 교육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이상으로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'희망두배 청년통장’과 '꿈나래통장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이 사업은 저소득층의 자산형성과 미래계획을 돕는 유익한 사업이므로, 신청자격에 해당하는 분들은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.
신청 기간은 6월 12일부터 23일까지이니 놓치지 마세요.

 

서울시복지재단 홈페이지